각덕대사의 휴식처
사찰예절 본문
사찰. 법당 예절
사찰은 거룩한 부처님을 모시고 있는 신성하고도 장엄한 곳이다. 속세의 대를 씻어 마음을 깨끗이 하는 곳이며, 스스로의 잘못을 참회하고 올바른 삶을 다짐하는 곳이기도 하다. 그리고 스님들이 상주하면서 공부하는 수행도량이기도 하다.
사찰에 가면 일반적으로 일주문(一株門), 금강문(金剛門), 천왕문(天王門), 불이문(不二門 ; 해탈문-解脫門)을 지나게 되는 것이 통례이다. 이외에도 사찰의 중심인 큰법당에 이르는 길은 여러 개가 있다. 그러나 반드시 정해진 출입문을 통해 들어가야 한다.
일주문은 사찰 입구이다. 세속의 미혹에 젖어 자신의 참모습을 잠시 잊고 살았더라도 여기서부터는 부처님 도량에 발을 들여놓기 때문에 마음을 다듬어야 한다. 이곳 일주문에서 합장하고 법당 쪽을 향해 공손하게 반배를 오리면서 사찰 예절이 시작된다. 일주문에 들어서면 집에 돌아갈 때까지 계속 조심스럽게 행동하여야 하는데 , 사찰에서의 행동은 이렇게 한다.
법당문에 들어갈 때에는 가운데 문으로 다니지 말고, 왼쪽 혹은
오른쪽 옆문으로 출입하여야 하며 볼일 없이 법당에 들어간다든
지 탑에 올라가서는 아니 된다. 법당 앞이나 탑에 침을 뱉지 못
하며, 모자나 지팡이를 법당 벽에 걱거나 기대지 아니 하여야 한
다. 그리고 불상이나 탑을 돌 때 먼저 합장반배를 한다음 합장한
체 오른쪽으로 돌면 된다.
≪사미율의≫
사찰에서는 항상 가운데(어간)를 피하는 것이 좋다. 부처님을 믿고 수행하는 이는 자기를 가장 낮은 위치에 두어야 하며 모든 이를 공경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일주문에서 법당을 향하여 반배를 올리고 자세를 바로 한 다음에 뒷짐을 지거나 주머니에 손을 넣지 말고 신발이 끌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길 한 쪽을 택하여 걷는데 일반적으로 보행자의 방향인 죄측 통행이 무난하다.
다음으로 천왕문에 들어서면 좌우에 사천왕상이 모셔져 있다. 사천왕은 불교의 가르침에 감동한 나머지 스스로 불교를 보호하는 신장으로서 의 역할을 하기로 원을 세운 하늘 신이다. 따라서 불자들은 원에 대한 경의의 표시로 반배의 예를 올린다 아직 법당에 모셔진 부처님께 예배를 드리지는 않았어도 경의를 표할 대상을 만나는 경우에는 반배를 한다. 법당에 이르기 전에 역대 조사스님의 부도(浮屠)를 지나게 되면 합장 반배하며 길에서 스님이나 법우를 만나는 경우에도 합장하고 반배를 하여야 한다.
법당 앞의 탑은 부처님 사리를 봉안한 신성한 곳이며, 실제로 사리가 모셔져있지 않더라도 부처님과 마찬가지로 생각하고 반배로 삼배를 올린다. 그리고 탑을 도는 경우가 있는데, 공경하는 대상인 탑을 가운데 두고 자기의 오른쪽에 탑이 위치하도록 하고 그 주위를 돈다. 이것은 왼쪽보다 오른쪽을 중요시하는 인도의 전통예법을 따른 것이다.
몸이 불편하여 지팡이를 소지하거나 비오는 날에 우산을 가지고 사찰에 갓을 때에는 우산을 법당 벽에 기대어 놓지 않도록 해야 한다. 사찰에 와서는 화급을 다투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먼저 법당에 들어가서 부처님께 참배하여야 한다. 대개의 경우 일주문 , 천왕문, 해탈문을 지나서 곧바로 올라가면 사찰의 대웅전 마당에 이르고 마당에 설치된 탑전에 예배를 l드리고 계단을 올라가서 법당에 이르게 된다. 법당에 올라가는 계단은 중앙계단과 죄우의 계단이 별개로 있는 경우도 있고 넓은 중앙계단 하나만 있는 경우도 있는데 중앙계단을 피하여 오른 쪽 또는 왼쪽 계단을 이용하여 올라가야 하며 계단이 하나만 있는 경우에는 중앙을 피하고 측면으로 올라가야 한다. 법당문 앞에서 신발을 가지런히 벗어 놓는데 이때 신발은 잘 정돈하여야 한다. 정갈한 마음의 표현이 신발 벗는 데서도 나타나야 한다.
법당 예절
법당으로 들어가는 문은 여러 개가 있는데 법당의 정면에 중앙 문이 있고 양쪽 옆에 각기 하나씩 문이 있다. 그리고 법당 좌우의 측면에 또 문이 하나씩 있는 것이 우리 나라 법당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법당 안을 보면 가운데 상단이 마련되어 불보살님을 모시고 그 좌우에 신중단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단의 주좌(主座)를 기준으로 가운데 통로를 어간(御間)이라 하고 법당이 정면으로 난 가운데 문을 어간 문이라고 한다. 법당에 출입할 때에는 어간문을 이용해서는 안되며 측면으로 난 문이나 좌 . 우측의 문을 이용하여야 한다.
법당은 부처님을 모시고 스님과 불자들이 정진하는 신성한 장소이므로 항상 정숙을 요한다. 문을 열 때에 요란한 소리를 내게 되면 다른 불자들의 기도 정진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문을 조용히 여는 행동 하나에서도 절제하는 수행을 실천하는 것이다.
법당 문을 열 때는 왼손으로 오른손의 손목을 받쳐 잡고 오른손으로 문고리를 잡은 다음 약간 들어올려서 문을 열어야 한다.
법당에 들어서면 상단(上壇)의 부처님을 향하여 합장하고 반배 한다. 다음에는 법당에 들어간 목적에 맞는 행동을 하는데 공양을 올리기 위하여 불전으로 나아가거나 또는 예배를 하기 위하여 적당한 자리를 찾아간다. 이때는 합장한 자세로 소리가 나지 않도록 조용히 걸어서 가야한다. 또 부처님께 절하고있는 다른 불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해야 하고 또 상단을 중심으로 하여 가운데 통로인 어간은사용해서는 안되며, 부득이 어간을 지나갈 때에는 합장한 자세로 허리를 굽히고 경건하게 통과하여야 한다.
부처님께 향이나 초를 올리기 위하여 준비하였더라도 이미 촛불이 켜져 있거나 향이 피워져 있으면 준비한 향과 초를 그대로 부처님 전에 올려놓는 것으로 공양을 대신하여야 한다. 다른 사람이 켜놓은 촛불을 끄고 자가가 준비한 초에 다시 불을 붙여 올린다든지 이미 촛불과 향불이 피워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옆에 다시 촛불과 향불을 켜서는 안된다.
향을 올리는 방법은 합장한 자세 그대로 부처님 전으로 조용히 걸어 나아간다. 부처님 앞에 이르게 되면 그 자리에서 반배를 올린다. 그리고 향합에 있는 향이나 또는 준비한 향을 오른손으로 집되, 향의 중심부를 오른손으로 잡고 촛불에 향불을 붙인다. 향에 붙은 불을 입김으로 끄지 말고 손을 이용하거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경건하게 꺼야 한다. 불붙은 쪽이 위로 가도록 두 손으로 받쳐 잡되 오른 손은 향의 가운데를 잡고 왼손은 오른 손목을 받쳐 잡는다. 다음에는 향든 손을 이마 높이로 올려 경건한 마음으로 예를 표한 다음 향로 중앙에 똑바로 꽂는다. 그리고 합장한 자세로 반배하고 제자리로 돌아가서 참배를 드리면 된다.
부처님께 향 공양을 올린 다음에는 신중단에 나아가서 순서에 의하여 향을 올리고 참배한다. 혹 자리가 복잡할 때는 그 자리에서 방향만 틀어 참배해도 된다.
법당에서 밖으로 나올 때에는 먼저 법당 안에 다른 불자님이 남아 있는지를 확인한다. 자기가 마지막으로 법당을 나오게 되는 경우에는 촛불을 꼬고 정돈한 후 나온다. 법당은 거의가 목조건불이므로 불조심에 항상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촛불을 끌 때도 불전으로 나아가 반배 후 손으로 불을 끄거나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여야 하며, 촛불을 끈 다음 다시 뒤로 물러서서 합장 반배하고 법당을 나온다. 나올 때에도 들어갈 때와 마찬가지로 합장한 자세로 법당의 옆문으로 와서 상단이 부처님전에 합장 반배 한 후 뒷걸음으로 법당문을 나온다. 법당을 나와서는 먼저 신발을 신고 뒷사람의 앞사람이 신발을 다 신을 때까지 차분한 마음가짐으로 기다린다. 또한 자기 신발을 다신은 후에는 다른 법우들의 신을 좋은 위치로 가져다주던가 흐트러진 신발이 있으면 가지런하게 놓는다.
'기타 > 마음의 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현재 외국에서 화제인 한국 셀카 bgm (0) | 2016.08.09 |
---|---|
[스크랩] 1월 삼천포 정모 - 꼬마야 행니마의 [사랑의 썰물] (0) | 2015.08.17 |
아버지란? (0) | 2008.02.28 |
[스크랩] ♡ 마음의 등불 ♡ (0) | 2007.12.01 |
[스크랩] 사찰과 법구 (0) | 2007.04.09 |